'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Git관련 (0) | 2015.01.16 |
|---|---|
| ASCII 코드표(확장포함) (0) | 2014.05.29 |
| Network byte order (0) | 2013.04.03 |
| VMware 자동시작 방법 (0) | 2013.02.08 |
| SVN 관련 (0) | 2012.08.10 |
| Git관련 (0) | 2015.01.16 |
|---|---|
| ASCII 코드표(확장포함) (0) | 2014.05.29 |
| Network byte order (0) | 2013.04.03 |
| VMware 자동시작 방법 (0) | 2013.02.08 |
| SVN 관련 (0) | 2012.08.10 |
출처 : http://aquayo.blog.me/80050192618
사용하고 있는 GPS 수신기의 데이타 인터페이스 포맷이 NMEA-0183 이다.
NMEA-0183 포맷은 아래와 같다.
NMEA: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
NMEA 에서는 GNSS, GPS, Loran, Omega, Transit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타셋을 정의하고 있다.
아래는 GPS 를 위한 7가지 데이타 셋이다.
NMEA 프로토콜의 구조
8비트 아스키 문자를 사용하여 4800 Baud 로 데이타를 전송한다. 패리티 비트는 사용하지 않는다.
각 GPS 데이타셋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.
$GPDTS,Inf_1,Inf_2,Inf_3,Inf_4,Inf_5,Inf_6,Inf_n*CS<CR><LF>
| 필드 |
내용 |
| $ | 데이타셋의 시작을 나타낸다. |
| GP | GPS 정보를 나타낸다. |
| DTS | 데이타셋의 식별자. |
| Inf_1 bis Inf_n | 1 ... n 정보 (예, course data 를 위한 175.4) |
| , |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간의 구분문자 |
| * | checksum 을 위한 구분 문자 |
| CS | 전체 데이타셋을 검사하기 위한 첵섬(Control Word) |
| <CR><LF> | 데이타셋의 끝. |
1. GGA 데이타 셋
GGA 데이타셋은 시간, longitude, latitude, 시스템의 품질, 사용중인 위성의 수, Height 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.
데이타 예제
$GPGGA,004952,3723.8259,N,12655.3071,E,1,04,04.7,00046.9,M,018.1,M,,*4F
개별 문자의 값 과 내용
| 필드 |
내용 |
| $ | GGA 데이타셋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만들어진 정보 |
| GGA | GGA 데이타셋 식별자 |
| 004952 | UTC Positional Time: 00시 49분 52초 |
| 3723.8259 | Latitude: 37도23.8259분 |
| N | 북위 (N=north, S=South) |
| 12655.3071 | Longitude: 126도 55.3071분 |
| E | 동경 (E=East, W=West) |
| 1 | GPS (0= no GPS, 1=GPS, 2=DGPS) |
| 04 | 계산을 위해 사용한 위성의 갯수 |
| 04.7 | HDOP(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) |
| 00046.9 | 안테나 높이 (Geoid Height) |
| M | 높이 단위(M=meter) |
| 018.1 | Ellipsoid 와 Geoid 간의 높이 차이 |
| M | 높이 차이의 단위(M=meter) |
| DPGS 데이타의 Age (No DGPS) |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4F | 전체 데이타 검증을 위한 첵섬값 |
| <CR><LF> | 데이타 종료 |
| 필드 |
내용 |
| $ | GLL 데이타의 시작 |
| GP GLL | GLL 데이타셋 식별자 |
| 4717.115 | Latitude: 47도 11.115분 |
| N | 북위(N=north,S=south) |
| 00833.912 | Logitude: 8도 33.912분 |
| E | 동경(E=East, W=West) |
| 130305.0 | UTC 시간: 13시 3분 5.0초 |
| A | 데이타셋 품질: A(Valid), V(Invalid)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32 | 첵섬 |
| <CR><LF> | 데이타 종료 |
| 필드 |
내용 |
| $ | 데이타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 정보 |
| GSA | GSA 데이타셋 식별자 |
| A | 계산 모드(A = 2D/3D 모두간의 자동선택, M=수동 선택) |
| 3 | 3차원 계산 모드(1=none, 2=2D, 3=3D) |
| 13 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(13번 위성) |
| 16 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(16번 위성) |
| 19 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(19번 위성) |
| 23 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(23번 위성)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계산에 사용된 위성의 번호 | |
| 19.3 | PDOP (Position DOP) |
| 04.7 | HDOP (Horizontal DOP) |
| 18.7 | VDOP (Vertical DOP)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08 | 첵섬 |
| <CR><LF> | 데이타 종료 |
| 필드 |
내용 |
| $ | 데이타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 정보 |
| GSV | GSV 데이타셋 정보 |
| 2 | 전송된 GVS 데이타 셋의 전체 수( 1..9) |
| 1 | 현재 GVS 데이타 셋 번호 (1..9) |
| 05 | 관측되는 전체 위성의 수 |
| 13 | 첫번째 위성의 식별 번호 13번 |
| 33 | 위성의 고도 33도 (0 ...90 도) |
| 295 | 위성의 방위각 295도 (0..360도) |
| 40 | 위성의 Signal-to-noise 비율 40(db-Hz) (1..99, 추적되지 않을 때 NULL) |
| 16 | 두번째 위성의 식별 번호 16번 |
| 57 | 위성의 고도 57도 |
| 043 | 위성의 방위각 43도 |
| 41 | 위성의 Signal-to-noise 비율 41(db-Hz) |
| 19 | 세번째 위성의 식별 번호 19번 |
| 42 | 위성의 고도 42도 |
| 212 | 위성의 방위각 212도 |
| 41 | 위성의 Signal-to-noise 비율 41(db-Hz) |
| 23 | 네번째 위성의 식별 번호 23번 |
| 40 | 위성의 고도 40도 |
| 249 | 위성의 방위각 249도 |
| 38 | 위성의 Signal-to-noise 비율 38(db-Hz) |
| * | 첵섬 구분값 |
| 7B | 첵섬 |
| 필드 |
내용 |
| $ | 데이타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 정보 |
| RMC | RMC 데이타셋 식별자 |
| 004952 | 수신 시간 (UTC), 00시 49분 52초 |
| A | 데이타셋 품질 (A=Valid, V=Invalid) |
| 3723.8259 | Latitude: 37도 23.8259분 |
| N | 북위 |
| 12655.3071 | Longitude: 126도 55.3071분 |
| E | 동경 |
| 000.0 | 속도: 0 Knots |
| 088.7 | 경로: 88.7 도 |
| 291107 | 시간: 2007년 11월 29일 (DDMMYY) |
| 보정 편차 | |
| 보정 편차 방향(W=West, E=East) | |
| A |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72 | 첵섬 |
| 필드 |
내용 |
| $ | 데이타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 정보 |
| VTG | VTG 데이타 셋 식별자 |
| 088.7 | 수평 경로 88.7도 (T) |
| T | 지도에 대응하는 Angular Course |
| 수평경로 0 도 (M) | |
| M | 자기장에 대응하는 Angular Course |
| 000.0 | 수평 속도 (N) |
| N | 속도 단위 (knots) |
| 000.0 | 수평 속도 (km/h) |
| K | 속도 단위 (km/h) |
| A | 데이타 셋 품질로 보임..(A=Valid, V=Invalid)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0A | 첵섬 |
| 필드 |
내용 |
| * | 데이타의 시작 |
| GP | GPS 어플라이언스 정보 |
| ZDA | ZDA 데이타셋 |
| 130305.2 | UTC 시간: 13시3분 5.2초 |
| 20 | Day (00.31) |
| 06 | Month (01..12) |
| 2001 | Year |
| Local Time 일자 예약 (HH) | |
| Local Time 일자 예약 (MM) | |
| * | 첵섬 구분자 |
| 문자 | 아스키 (8비트 값) | ||||||||
| G | 0x47 | 0 | 1 | 0 | 0 | 0 | 1 | 1 | 1 |
| P | 0x50 | 0 | 1 | 0 | 1 | 0 | 0 | 0 | 0 |
| V | 0x56 | 0 | 1 | 0 | 1 | 0 | 1 | 1 | 0 |
| T | 0x54 | 0 | 1 | 0 | 1 | 0 | 1 | 0 | 0 |
| G | 0x47 | 0 | 1 | 0 | 0 | 0 | 1 | 1 | 1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8 | 0x38 | 0 | 0 | 1 | 1 | 1 | 0 | 0 | 0 |
| 8 | 0x38 | 0 | 0 | 1 | 1 | 1 | 0 | 0 | 0 |
| . | 0x2E | 0 | 0 | 1 | 0 | 1 | 1 | 1 | 0 |
| 7 | 0x37 | 0 | 0 | 1 | 1 | 0 | 1 | 1 | 1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T | 0x54 | 0 | 1 | 0 | 1 | 0 | 1 | 0 | 0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M | 0x4D | 0 | 1 | 0 | 0 | 1 | 1 | 0 | 1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. | 0x2E | 0 | 0 | 1 | 0 | 1 | 1 | 1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N | 0x4E | 0 | 1 | 0 | 0 | 1 | 1 | 1 | 0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. | 0x2E | 0 | 0 | 1 | 0 | 1 | 1 | 1 | 0 |
| 0 | 0x30 | 0 | 0 | 1 | 1 | 0 | 0 | 0 | 0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K | 0x4B | 0 | 1 | 0 | 0 | 1 | 1 | 0 | 1 |
| , | 0x2C | 0 | 0 | 1 | 0 | 1 | 1 | 0 | 0 |
| A | 0x41 | 0 | 1 | 0 | 0 | 0 | 0 | 0 | 1 |
| XOR 합 | 0x0A | 0 | 0 | 0 | 0 | 1 | 0 | 0 | 0 |
| 4bit(Nibble) | 0 0 0 0 | 1 0 0 0 | |||||||
| Hex 값 | 0x00 | 0x0A | |||||||
| ASCII CS 값 | 0 | A | |||||||
HDOP 정의 링크
GPS튀는 현상 설명
http://blog.daum.net/commeca/8907691
참고
https://techlog.gurucat.net/239
| 모바일 프로그램 (0) | 2013.12.03 |
|---|---|
| GPS NMEA-0183 포맷 (0) | 2013.07.03 |
| 음계 표준주파수 (0) | 2012.06.21 |
Network byte order
출처 : http://stone.backrush.com/sunfaq/ljs003.html
* Big endian 방식 사용
Axil S/E-ljs046
1994.10.4
Lee Jin-Soo
SUBJECT: NETWORK에서 사용되는 Byte Order는?
####### NETWORK BYTE ORDER #######
o 불행히도 모든 컴퓨터가 여러 바이트로 된 데이타의 저장시 같은 바이트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.
8-비트 바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들은 사라져 가고 있지만 바이트의 순서에 대해서는 명확한
표준이 없으므로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.
2바이트로 이루어진 16-비트 정수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이것의 저장 방법에는 하위 바이트를 먼저
두는것 - 이를 little endian이라고 한다 -과 상위 바이트를 먼저 두는 것 - 이를 big endian이라고한다 -이
있다.
첫번째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.
Little endian byte order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high-order byte | low-order byte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↑ ↑
addr A+1 addr A
여기서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주소가 증가한다.
낮은 주소가 낮은 바이트라는 논리이다.
Big endian byte order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high-order byte | low-order byte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↑ ↑
addr A addr A+1
여기서는 왼쪽편에 있는 것이 오른편보다 낮은 주소이다
현재 컴퓨터 시스템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바이트 순서는 다음과 같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big endian : sparc, IBM 370, Motorola 68000, Pyramid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little endian : Intel 80x86(IBM PC), DEC VAX, DED PDP-11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32 비트 정수의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심각하다. 시스템에 따라 16 비트 부분이 서로 바뀌어 있다.
전산망 규약에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은 망 바이트의 순서를 확정짓는 것이다.
TCP/IP, XNS, SNA 규약들은 규약 머릿부에 쓰이는 16-비트 정수와 32-비트 정수에 모두
big endian을 사용한다. (실수 데이타 부분에 대해서는 차이가 심하지만 다행이 규약에서는 정수 영역만
다룬다)
참고 : http://fattarzan.tistory.com/entry/htonl-htons-ntohl-ntohs
참고 : http://choong0121.tistory.com/entry/네트워크-바이트-순서Network-byte-Ordering
| ASCII 코드표(확장포함) (0) | 2014.05.29 |
|---|---|
| 단위 환산표 (0) | 2013.07.03 |
| VMware 자동시작 방법 (0) | 2013.02.08 |
| SVN 관련 (0) | 2012.08.10 |
| Windows XP Mode 쉽게 재설치하는 방법 (0) | 2012.07.03 |
[bat 파일 생성]
PATH = c:\Program Files (x86)\VMware\VMware Workstation\;%PATH%
vmrun.exe -T ws start d:\VMware\Machines\Win7x32\Win7x32.vmx nogui
[시작프로그램 등록]
bat파일 링크하여 등록
[참고]
[주의사항 -- 악성코드]
http://hummingbird.tistory.com/4954
| 단위 환산표 (0) | 2013.07.03 |
|---|---|
| Network byte order (0) | 2013.04.03 |
| SVN 관련 (0) | 2012.08.10 |
| Windows XP Mode 쉽게 재설치하는 방법 (0) | 2012.07.03 |
| null modem emulator (0) | 2012.06.12 |
리눅스를 쓰는 분들은 심볼릭 링크라는것에 익숙합니다. 'ln -s' 명령으로 사용하죠.
제가 윈도우7에서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려는 이유는 아이팟의 백업 디렉토리를 다른 드라이브로 옮기기 위함입니다. c 드라이브의 용량이 그다지 크지 않기도 하고, c 드라이브는 os 용이라 백업은 다른 드라이브에 해 두려는 것이죠.
제가 참고한 웹페이지는 http://snoopybox.co.kr/1400 이곳이고 직접보시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. xp에선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는군요.
위의 링크의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심볼릭링크를 이용하면 저렇게 c 드라이브의 내용을 다른 드라이브로 옮기고 심볼릭링크를 걸어주면 해당 파일들이 c 드라이브에 있는것처럼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.
링크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간단히 사용법을 적어보자면.....
이런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.
주의하실점이 하나 있는데....항상그런건 아니지만 윈도우7 에서는 관리자 권한을 갖지 않으면 파일의 삭제/생성 등이 안되는 디렉토리가 있습니다. 이런곳을 이용 하실땐 관리자권한으로 콘솔(명령프롬프트)를 열어 합니다.
혹시나 싶어서 이야기 하는 겁니다만....따옴표의 경우는 디렉토리명에 빈칸이 있을 경우는 써줘야 하고 빈칸이 없을 경우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.
| Windows 10 19H2 1909 (0) | 2019.10.04 |
|---|---|
| Hyper-V 네트워크 설정 (0) | 2017.04.26 |
| Win7에서 자동 로그온을 설정하는 방법 (0) | 2012.07.11 |
| 윈도우7 USER-PE 로 윈도우7 을 설치하는 방법 (0) | 2012.06.23 |
| 윈도우7 예약파티션 없이 설치하기 (0) | 2012.06.23 |
| ESP개발환경 (0) | 2020.04.15 |
|---|---|
| 안드로이드 개발자 가이드 문서 (0) | 2013.02.09 |
프로젝트(소스) 관리
1) VisualSVN Server : http://www.visualsvn.com/server/
2) TortoiseSVN client : http://tortoisesvn.net/
3) AnkhSVN (visual studio 2005 ~ 지원) : http://ankhsvn.open.collab.net/
명령어 (svn, svnadmin)
svnadmin --> http://glotalk.egloos.com/1470266
svn-win32 : http://alagazam.net/
특정권한
http://mugrammer.tistory.com/59
| Network byte order (0) | 2013.04.03 |
|---|---|
| VMware 자동시작 방법 (0) | 2013.02.08 |
| Windows XP Mode 쉽게 재설치하는 방법 (0) | 2012.07.03 |
| null modem emulator (0) | 2012.06.12 |
| 무료 가상시리얼 에뮬레이터 (0) | 2012.06.12 |
Win7 에서 자동 로그온을 설정하는 방법
| Hyper-V 네트워크 설정 (0) | 2017.04.26 |
|---|---|
| Win7 심블릭 생성하는 방법 (0) | 2013.01.10 |
| 윈도우7 USER-PE 로 윈도우7 을 설치하는 방법 (0) | 2012.06.23 |
| 윈도우7 예약파티션 없이 설치하기 (0) | 2012.06.23 |
| 컴맹탈출구(윈도우7) (0) | 2012.06.23 |